본문 바로가기

장례 문화

마오리족의 장례 문화 – 춤과 노래로 영혼을 기리다

뉴질랜드의 원주민인 마오리족(Māori) 은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유지하며, 삶과 죽음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깊은 철학적 의미를 지닌다. 마오리족에게 죽음은 단순한 끝이 아니라, 조상과 하나가 되어 영혼이 더 큰 공동체 속으로 들어가는 과정이다. 이들은 장례식에서 전통적인 춤(하카, Haka)과 노래(와이아타, Waiata)를 통해 망자를 기리며, 강한 공동체 정신을 표현한다. 마오리족의 장례 문화는 단순한 애도의 자리가 아니라, 조상의 영혼과 후손들이 연결되는 신성한 의식이다. 이번 글에서는 마오리족의 장례 의식, 하카와 와이아타의 의미, 공동체의 역할, 그리고 현대 사회에서 변화하는 마오리족의 장례 문화까지 깊이 있게 살펴보겠다.

 

마오리족의 장례 문화 – 춤과 노래로 영혼을 기리다

 

1. 마오리족의 장례 의식 – 탕이항가(Tangihanga)란 무엇인가?

마오리족의 전통적인 장례식은 탕이항가(Tangihanga) 라고 불리며, 이는 망자의 영혼이 조상들과 하나가 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의식이다.
탕이항가는 단순한 하루의 장례식이 아니라, 보통 3일에서 7일 동안 이어지는 긴 의식으로 진행된다.

탕이항가의 주요 과정

  1. 시신을 마라에(Marae)로 운반
    • 마오리족은 마라에(공동체 회합 장소)에서 장례식을 진행한다.
    • 시신은 마라에 중앙에 안치되며, 공동체 구성원들은 이곳에서 고인을 기린다.
  2. 애도의 시간과 하카(Haka) 춤 공연
    • 마오리족은 슬픔을 표현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으며, 장례식 동안 울고, 노래하고, 춤추는 방식으로 감정을 표출한다.
    • 하카(Haka)라는 전통 춤을 통해 망자를 기리고, 와이아타(Waiata)라는 노래를 부르며 애도를 표현한다.
  3. 음식과 이야기 공유
    • 마오리족은 장례식에서 음식을 함께 나누며, 망자의 삶을 회상하는 이야기를 공유한다.
    • 이 과정은 단순한 애도가 아니라, 망자의 존재를 공동체 속에서 영원히 기억하는 과정이다.

탕이항가는 단순한 매장이 아니라, 조상과 후손, 그리고 살아 있는 공동체가 함께하는 의식이다.

 

2. 하카(Haka) – 춤을 통해 영혼을 기리는 강렬한 표현

하카(Haka)는 마오리족의 전통적인 전사(戰士) 춤으로, 오늘날에는 스포츠 경기 전 뉴질랜드 럭비팀 올 블랙스(All Blacks)가 선보이며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하지만 하카는 단순한 전투의 춤이 아니라, 망자의 영혼을 기리는 장례식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례식에서 하카가 가지는 의미

  1. 망자를 위한 경의와 애도
    • 장례식에서 하카는 망자의 영혼을 존경하고, 마지막 인사를 보내는 방식이다.
    • 춤을 추는 동안, 참가자들은 소리를 내고 몸짓을 강하게 사용하여 감정을 표출한다.
  2. 영혼을 보호하고 조상과 연결
    • 마오리족은 죽은 자가 조상들과 하나가 될 때까지 영혼이 보호받아야 한다고 믿는다.
    • 하카는 망자의 영혼이 안전하게 사후 세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의식적인 행위이다.
  3. 공동체의 유대 강화
    • 하카를 함께 추는 것은 단순한 퍼포먼스가 아니라, 남겨진 사람들이 함께 슬픔을 나누고 연대감을 강화하는 과정이다.
    • 춤을 추면서 사람들은 서로 손을 맞잡고, 공동체의 힘을 확인하며 함께 애도한다.

장례식에서의 하카는 슬픔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강렬한 방식이며, 망자의 영혼을 기리고 후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는 중요한 의식이다.

 

3. 와이아타(Waiata) – 노래를 통해 영혼과 교감하다

와이아타(Waiata)는 마오리족의 전통적인 노래로, 장례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오리족은 음악과 노래를 통해 감정을 표현하며, 영혼과 교감할 수 있다고 믿는다.

장례식에서 와이아타의 역할

  1. 영혼을 위로하는 노래
    • 와이아타는 망자의 영혼이 평온하게 사후 세계로 갈 수 있도록 위로하는 역할을 한다.
    • 노래의 가사는 조상과 신에게 망자의 영혼을 인도해 달라고 기원하는 내용이 많다.
  2. 애도의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
    • 와이아타는 눈물과 슬픔을 담아 부르는 노래로, 망자와 마지막으로 나누는 대화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 때때로 가족들은 망자가 생전에 좋아했던 노래를 함께 부르며, 그의 기억을 기린다.
  3. 공동체와 함께하는 음악적 장례
    • 마오리족은 장례식에서 공동체가 함께 와이아타를 부르며, 공동의 감정을 공유하고 치유하는 과정을 거친다.
    • 음악은 단순한 애도가 아니라, 남겨진 이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는 요소가 된다.

와이아타는 장례식에서 단순한 배경 음악이 아니라, 망자의 영혼과 마지막으로 소통하는 신성한 방식이다.

 

4. 현대 사회에서 변화하는 마오리족의 장례 문화

마오리족의 전통적인 장례식은 여전히 뉴질랜드에서 중요한 문화적 요소로 남아 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몇 가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① 서구식 장례와 마오리 전통의 융합

  • 뉴질랜드는 서구식 장례 문화가 자리 잡은 나라지만, 마오리족은 여전히 탕이항가 의식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식 장례와 혼합하는 경향을 보인다.
  • 일부 가족들은 교회에서 기독교식 장례를 치른 후, 마라에에서 전통적인 마오리 의식을 진행하기도 한다.

② 도시화와 장례 방식의 변화

  • 과거에는 대부분의 마오리족이 자연 속 마을에서 전통 장례를 진행했지만, 오늘날 많은 마오리족이 도시에 거주하며 현대식 장례를 선택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 하지만 탕이항가와 하카, 와이아타는 여전히 강한 정체성을 유지하며 장례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③ 마오리족 전통 장례의 세계적인 관심 증가

  • 뉴질랜드 럭비팀 올 블랙스(All Blacks)의 경기 전 하카 퍼포먼스로 인해, 마오리족의 문화와 장례 의식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 일부 마오리족 공동체는 전통 장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교육과 홍보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맺음말: 마오리족의 장례 문화는 공동체와 영혼의 연결을 의미한다

마오리족의 장례 문화는 단순한 매장이 아니라, 망자의 영혼을 기리고, 조상과 후손이 연결되는 신성한 의식이다.

  • 탕이항가(Tangihanga): 장례식에서 영혼을 보내는 과정
  • 하카(Haka): 강렬한 춤을 통해 영혼을 기리는 의식
  • 와이아타(Waiata): 노래를 통해 망자의 영혼과 교감하는 시간

비록 현대화로 인해 일부 변화가 일어나고 있지만, 마오리족의 장례 문화는 여전히 강한 공동체 정신을 유지하며, 망자를 기리는 독창적인 방식으로 남아 있다.